불장을 만끽하고 계신 독자 분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의 폭발적인 가격 상승이 있었고, 밈 코인들이 장세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장에서 우리는 새로운 기회를 계속해서 캐치해야 되겠죠.
매주 화요일 SKYGG는 한 주간 Web3 시장을 관통했던 이야기를 한 편의 서브스택으로 발행합니다. 과연 이번 주 SKYGG가 엄선한 Web3 게이밍의 내러티브, 그리고 NFT 시장의 동향, 주목해 볼만한 AIRDROP 이야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 WEB3 GAMING PICK
또 다시 게이밍 섹터 노드 신화 나오나
비트코인은 전고점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장이 좋습니다. AI 섹터의 폭발적인 성장에 빛이 바랜 감이 있지만, 본디 2024년은 '게이밍 섹터'의 약진을 많은 이들이 예상했던 바 있습니다. 자, 이 재료들을 전부 합쳐 봅시다. SKYGG를 비롯, WEB3 게임에 발을 걸치고 있는 이들이라면 모두가 눈독을 들이고 있는 '큰 것'이 올 테니까요. 바로 Aethir입니다.
게이밍 노드의 신화는 어떻게 이어지고 있을까요?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린 '갈라 노드' 이후, 2024년의 'Xai 노드'는 바이낸스 상장 및 수 차례의 에어드롭으로 FOMO를 유발하기 충분했습니다. 그리고 Aethir에서 사람들은 같은 냄새를 맡고 있죠. 왜일까요? Impossible Finance의 Aethir 리서치에서 답을 찾아 보았습니다.
6천억 달러 규모의 잠재 시장과 Web3.0의 크로스오버
타 프로젝트 대비 엔터프라이즈급 GPU를 독점적으로 온보딩
클라우드 게이밍 + AI 인프라 + 그래픽 컴퓨팅 + DePiN 메타
9M 펀드레이징 및 150M 가치 평가
핵심은 "Aethir는 타 AI 섹터 DePiN 프로젝트보다 확장성이 뛰어나고 접근성이 낮으며, 고성능의 기기를 다수 갖추어 시장 경쟁력이 있다"로 요약할 수 있겠네요. Aethir는 10만개의 노드를 3월 20일부터 판매하며, 판매 가격은 $500에서 점차 증가합니다. 비싸다면 비싼 금액이지만, 정말 치열한 하루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 베스팅 기간이 1년이라는 점은 알아둬야 할 리스크입니다. XAI 체인이 특이 체질이었던 이유도 있죠.
이외에도 Hytopia가 구축 중인 Hychain의 노드도 판매를 시작했는데, 이쪽은 이미 유통되고 있는 토큰($TOPIA)을 제공해준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보고 XAI가 저격성 멘트를 날린 것도 흥미롭네요.
🎮 NFT PICK
블래스트의 인덱스는 Wassies?
각 체인마다 '대표 NFT'를 만드는 작업이 한창입니다. 체인 입장에서는 신생 NFT에 도박을 하는것보다 있는 커뮤니티를 이식해오는게 더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요.
각 체인의 대표 NFT들이 요즘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블래스트의 대표 NFT는 Wassies가 앞서가는 느낌입니다. Loomlock이라는 프로젝트에서 파생된 '오리너구리' 들로, Loomlock은 머천다이징, 홀더의 IP 소유권 확립 등 현재 NFT프로젝트들이 빌딩하고 있는 부분들을 2022년 초부터 진행해왔고 다양한 네러티브를 실험해왔던 바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Wassie Grant를 통해 Wassie ecosystem을 커뮤니티가 빌드해나가는것을 장려하고, Wassie pawn을 통해 Community treasury에서의 fund를 통해 Wassie를 lock하면 0.4 ETH를 빌려주는 NFT 유동화의 초석을 다지는 아이디어들을 실행했던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Wassie가 왜 블래스트와 한 배를 타게 된 걸까요? SKYGG가 생각하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Loomdart는 blast 투자자인 egirl capital의 co-founder
많은 우승 project들이 wassies에 % multiplier, early points 제공을 약속함
Sol의 Madlads, Polygon의 Misfits, AVAX의 Dokyo처럼 Blast의 Wassies가 될 가능성
Wormhole과의 콜라보레이션 가능성
Wassies는 홀더들에게 밈 토큰인 $PUMP와 파생 DN404 NFT인 Chilbings 등으로 큰 수익을 남겨주었고 Blast런칭에 대한 기대감으로 FP는 2.4 ETH까지 폭등했습니다. 현재 Blast는 모두가 기대했던것 만큼의 폭발적인 하이프가 나오지 않으며 Wassies 역시 FP가 0.9ETH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
만약 여러분께서 Blast 체인의 성장세에 베팅한다면, Wassies 역시 고려할만한 대상이 아닐까요? 블래스트의 어마무시하던 TVL은 메인넷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으나, 현재 Wassies는 다소 고전하고 있기에 가격적으로 매력을 느낄 시기이기도 합니다.
🎮 AIRDROP PICK
이제는 에어드랍 작업도 똘똘해 져야 하는 시대?
에어드랍 파밍에서 빠질 수 없는, 어쩌면 필요악일 수도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다계정인데요. 최근 ZKSync의 에어드랍 스냅샷이 찍혔다는 '가설'이 다시 커뮤니티에 돌고 있고, '시빌'이라고 불리는 다계정 필터링의 공포가 엄습해오고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에어드랍인 스타크넷은 조건 자체는 쉬운 편이었으나, 에어드랍 조건에 0.005eth 보유가 내걸리면서 상당수의 계정이 에어드랍 대상자에서 제외되었는데요. 특히 스타크넷의 경우 꾸준하게 스타크넷을 사용해왔던 이들에게 많은 토큰을 분배해주면서 '단일 계정의 승리' 중 하나로 기록됐죠.
물론, 다계정은 여전히 에어드랍 승리를 위한 최소 조건이지만, 이제는 '똘똘해질 결심'이 필요한 때입니다. 일전에는 다계정 필터링을 솔라나의 RWA 섹터의 기대주, 'Parcl' 역시 다계정을 한 사람들은 차라리 이실직고를 하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고, 떠오르는 거래소 '백팩'은 KYC와 함께 사용자의 ip를 수집합니다.
지갑에 최소 ETH 보유
이더리움 L1 트랜잭션 및 브릿지 사용
IP 및 기기 중복 피하기
프로토콜 내 ‘모든’ 기능 써보기(dmail)
이러한 기본적인 세팅 외에도, 현재 에어드랍을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이 '의도한 숫자'를 만들기 위한 커트라인을 세팅하는 것도 기억할만 합니다. TIA 23개를 커트라인으로 선정한 SAGA라던가, AARK 역시 PYTH 1200개 이상 스테이커에게 자격을 부여했습니다. 하여 프로젝트마다 정리된 DUNE에서 상위 30~50% 이상의 기준치는 맞춰두는 게 좋겠습니다.
여러모로 뜨거운 장이 게속되고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AI 섹터와 게임 섹터의 전망을 좋게 보고 있고, SKYGG 역시 다양한 게임 소식과 리뷰 등으로 어떤 게임이 NEXT GEM일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월 첫째 주의 SKYGG's Weekly Web3는 어떠셨나요? SKYGG는 독자 여러분이 Web3 게임을 비롯한 생태계의 트렌드를 따라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힘내보겠습니다. 글에 대한 피드백이 있다면 편하게 말씀해 주세요. 독자 여러분의 피드백은 더 나은 글의 원동력이 됩니다.
공식 트위터에서 보다 빠르게 SKYGG의 인사이트를 읽어보실 수 있으니 많은 팔로우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