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작성에 도움을 주신 Staking Rewards의 Adam에게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들어가며
HyperEVM의 출시에 따라 $HYPE 보유자들은 L1 Spot DEX에서의 거래와 스테이킹 이외에 생태계 내 새로운 활용처를 기대하고 있다
생태계가 초기 단계인 만큼 러그풀과 같은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며, L1과 EVM 간의 native transfer, precompiles 기능 도입 지연으로 인해 $HYPE 보유자들의 HyperEVM dApp 참여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상황이다
2025년 3월 26일 기준,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는 약 4백만 개로, 이는 전체 유통량의 1.2%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홀더들이 $HYPE를 활용한 수익 창출을 위해 어떤 프로젝트가 안전하고 효율적인지 판단하는 것은 상당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신뢰성 높은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HYPE를 자동으로 운용해주는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loopedHYPE는 사용자들로부터 $HYPE를 예치받아, 스테이킹을 통해 stHYPE/kHYPE과 같은 LST(Liquid Staking Token)를 획득한 후, Felix/HyperLend/HyperSwap과 같은 DeFi 플랫폼에서 수익률 차이를 활용한 자동화된 루핑 전략을 수행하여 연간 10%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이다
loopedHYPE는 Nucleus와 Staking Rewards의 창립 멤버들이 개발했으며, 검증된 파트너십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주요 파트너십은 다음과 같다:
리스크 관리: Nucleus, (예정: Gauntlet, anthias labs)
DeFi: HyperLend, Felix, HyperSwap, Sentiment
유동화 스테이킹 프로토콜: stakedhype, (예정: Kinetiq)
밸리데이터: B-Harvest, Nansen x HypurrCollective, ASXN, ValiDao, Meria, Imperator
loopedHYPE
loopedHYPE는 Nucleus와 Staking Rewards의 창립 멤버들이 출시한 프로젝트이다. Nucleus는 2024년 8월 gumi Cryptos 주도로 7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native yield provider로, 현재 9개의 네트워크에서 약 1억 달러 규모의 TVL을 보유하고 있다. loopedHYPE에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예치금을 관리하며 루핑 거래 실행에 활용되는 Nucleus Vaults(금고) 기술을 제공한다.
Staking Rewards는 기관 대상 스테이킹 플랫폼이자 데이터 집계 허브인 Staking Rewards는, 주요 스테이킹 자산에 대한 다양한 전략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현재 Coinbase, Kraken, 21Shares, Grayscale과 같은 선도적인 기관들이 Staking Rewards의 AP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2023년 3월 DCG, Galaxy Digital, Coinshares 주도로 4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loopedHYPE에서는 밸리데이터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loopedHYPE는 HyperEVM 생태계에서 HYPE LST를 활용한 자동화된 루핑 전략을 통해 기존 HYPE의 스테이킹 수익률(약 2%)을 크게 상회하는 10%의 연간 수익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5년 3월 26일 현재, loopedHYPE는 약 1000만 달러 가치의 HYPE를 예치받았으며, 전체 stHYPE의 20.17%를 보유하여 stakedHYPE 생태계에서 HypurrFi에 이어 두 번째로 큰 stHYPE 보유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는 아직 초기 단계의 수치이지만, HyperEVM으로 브릿지된 $HYPE가 전체 유통량의 1.2%에 불과한 현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 사용자들의 HyperEVM 유입에 따른 성장 잠재력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loopedHYPE의 기본 작동 원리
Source: loopedHYPE
loopedHYPE의 자동화된 루핑 전략은 AutoLoop라 명명되며,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운영된다:
loopedHYPE는 사용자들로부터 $HYPE를 예치받는다. Phase 1에서는 $HYPE만을 예치받았으며, 향후 단계에서는 stHYPE, kHYPE, 스테이블코인 예치도 허용할 예정이다.
예치 증명으로 LHYPE라는 ERC20 토큰(Liquid Looping Token)을 발행하여 예치자에게 부여한다.
예치받은 $HYPE를 stakedHYPE과 같은 유동화 스테이킹 프로젝트에 예치하고 stHYPE를 발행한다. 현재는 stakedHYPE만 출시 상태이며, 이후 Kinetiq 등 다른 검증된 프로젝트도 추가할 계획이다.
발행된 stHYPE를 HypurrFi, HyperLend, Felix 등 DeFi 플랫폼에서 담보로 활용하여 대출을 진행한다.
담보대출로 획득한 자산으로 추가 $HYPE를 확보한 후 3번과 4번 과정을 반복하는 루핑 전략을 실행한다.
이러한 자동화된 루핑 전략을 통해 3~15배 사이의 레버리지를 탄력적으로 조정한다. 기본적으로 스테이킹 APY가 대출 이자보다 높을 경우 HYPE를 추가로 대출받아 스테이킹하며, 반대 상황에서는 대출 이자를 상환하거나 언스테이킹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최적화된 수익률을 추구한다.
loopedHYPE의 차별점
복잡한 과정의 추상화
loopedHYPE는 가장 큰 장점은 복잡한 DeFi 과정을 단순화하여 모든 $HYPE 보유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화된 금융 상품이라는 점이다. 사용자는 $HYPE를 예치하는 단일 작업만 수행하면, 스테이킹 APY 분석, 담보대출 이율 최적화, 플랫폼 선정, 리스크 관리 등 전문적 지식과 시간 투자가 필요한 프로세스가 자동화된 전략으로 운용된다. 이는 DeFi 전문가가 아니거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HYPE 보유자들에게 이상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향상된 수익률
loopedHYPE는 연간 10%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여, 단순 스테이킹 방식의 2.2%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수익 구조를 제공한다. 이는 네트워크 보상, MEV 및 에어드랍을 모두 포함한 종합적인 수익률이다. 단, MEV 전략은 HyperEVM 클라이언트가 오픈소스가 되어야 구현 가능한 전략이다. 따라서 현재 전략에 MEV를 통해 발생한 수익이 포함되지 않아 목표 APY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향후 몇 주 내로, loopedHYPE는 사용자들이 자동 루핑 전략을 통해 수익을 창출 중인 HYPE의 규모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시보드를 출시할 예정이다. 추가로, LoopDrops도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
더불어, $HYPE 스테이킹과 운용에 따른 에어드랍 또한 LHYPE 보유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된다. 이를 위해 'LoopDrops'라는 메커니즘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에어드랍을 자동으로 청구하고 예치금 규모와 기간에 비례하여 공정하게 분배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루핑 전략의 일환으로 Felix를 활용할 경우, dApp 이용 보상으로 $FELIX 토큰이 에어드랍된다면, 이를 예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하여 사용자들에게 투명하게 분배하고 모든 과정을 온체인에 기록한다.
프로젝트 선별
$HYPE 보유자들이 HyperEVM 생태계로의 이전을 주저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러그풀과 같은 보안 리스크이다. 초기 생태계의 특성상 단기적 이익을 추구하는 불안정한 프로젝트들이 다수 존재하며, Karu와 HPS Protocol 등이 그 사례로 지목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loopedHYPE는 철저한 검증 과정을 거친 프로젝트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검증된 dApp만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자산의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HYPE 보유자(스테이커), 안정적인 예치금을 확보하려는 검증자, 그리고 생태계 전반의 보안 수준 향상이라는 다차원적 이해관계를 효과적으로 조율하여 지속 가능한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 고려사항
보안 및 리스크 관리
Hyperliquid 거래소에서 직접 밸리데이터에게 스테이킹하는 방식과 달리, loopedHYPE는 자체 컨트랙트와 DeFi dApps, Liquid Staking Protocol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과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므로, 연계된 프로젝트의 리스크 요인에 노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loopedHYPE는 협업 파트너 선정에 있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여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다.
loopedHYPE가 활용하는 Nucleus Boring Vault Infrastructure는 Macro Security, pashov, Spearbit의 종합적인 보안 검수를 완료하였다. 또한, 펀드의 최종 커스터디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귀속되어 외부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며, multi-sig process를 통해 해킹 위험을 방지하는 다중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루핑 전략의 특성상 담보 대출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장 급변으로 인한 $HYPE 가격 급락 시 담보 가치 하락으로 연쇄 청산이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AutoLoop 전략은 스테이킹 APY, 대출 이자율, LST 가격 등 핵심 지표를 하루 종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일일 단위로 자산 및 레버리지를 조정하는 리밸런싱을 실시한다. 또한, Nucleus가 AutoLoop의 리스크 큐레이터 역할도 함께 수행하여 극단적 시장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
loopedHYPE는 추후 출시할 토큰 중 총 공급량의 90%를 생태계 참여자(스테이커, 대출 프로토콜, 밸리데이터, 볼트 인프라 등)에게 분배할 계획이며, 이는 거버넌스/유틸리티 토큰으로 기능하여 예치금 관리 및 루핑 거래 실행에 활용되는 Vault를 점진적으로 커뮤니티 소유로 전환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얼리 어답터 프로그램인 Phase 1은 이미 500만 개의 HYPE를 모집을 완료했으며, 이 단계의 참여자들에게는 토큰 공급량의 4%가 분배될 예정이다. 토큰 보상을 위해서는 민팅한 LHYPE를 최소 8주 간 보유해야 인정되며, 이 기간 동안은 LHYPE 소각이 제한된다.
사용자는 Staking Rewards Terminal을 통해 자신의 LHYPE 포지션을 인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LHYPE을 반환하고 그 대가로 지갑에 stHYPE을 수령하게 된다. 인출에는 1~3일이 소요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DEX에서 포지션을 교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슬리피지 비용을 회피할 수 있다.
Phase 2는 곧 출시할 예정이며,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다:
할당량: 전체 토큰 공급량의 3%
초기 상한: 2,000,000 HYPE
최소 예치금: 제한 없음
최대 예치금: 69,000 HYPE
대상 포지션:
네이티브 LHYPE
AMM 풀 내 LHYPE (Kittenswap, Hyperswap, Laminar)
대출 프로토콜 내 LHYPE (Timeswap, Felix)
Phase-2 상한 도달 시점에 네이티브 LHYPE 또는 위 조건을 충족하는 DeFi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지갑은, 전체 토큰 공급량의 일정 비율을 지분에 따라 배분받게 된다.
밸리데이터 스테이킹 에어드랍
Source: Staking Rewards
스테이킹을 실행한 많은 사용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부분 중 하나는, loopedHYPE에 $HYPE를 예치하더라도 기존 검증자들(Nansen x HypurrCollective, ValiDao 등)에게 직접 스테이킹했을 때와 동일하게 Nansen 포인트, $ANIME/$TIME/NEKO, ValiDao 포인트 등의 에어드랍 보상을 수령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loopedHYPE에서는 $HYPE를 예치하는 사용자가 특정 밸리데이터를 직접 선택하거나, 선호하는 밸리데이터가 없을 경우 'No Preference' 옵션을 통해 전체 stHYPE에 포함되는 밸리데이터 전체에 분산하는 방식을 지원한다. 이때 선택한 밸리데이터 대상의 에어드랍 수령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Nansen x HypurrCollective를 선택하여 예치할 경우 ANIME와 같은 보상을 정상적으로 수령할 수 있다. (단, HyperSwap에서 스테이킹을 진행할 경우 자동으로 Imperator 밸리데이터에게 스테이킹되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stakedHYPE의 Community Codes를 통해 구현되며, 이전 SKYGG의 분석 글에서도 상세히 다루어진 바 있다.
참고 자료
https://docs.loopedhype.com/
주의사항
본 문서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투자 조언이나 금융 추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암호화폐 투자는 높은 리스크를 수반하며, 투자자는 자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잃을 수 있습니다. loopedHYPE나 본 문서에서 언급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전에 반드시 독립적인 재정 및 법률 자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의 내용은 작성 시점(2025년 3월 26일)을 기준으로 한 정보이며, 이후 시장 상황이나 프로젝트 정책 변경으로 인해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루핑 전략 및 레버리지 사용은 추가적인 리스크를 수반하며, 시장 변동성에 더 크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본 문서는 loopedHYPE 또는 관련 프로젝트의 공식 문서가 아니며, 저자의 개인적인 분석과 이해에 기반합니다.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했으나, 모든 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투자 결정은 반드시 공식 문서와 자체 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